부동산 중개 수수료 연말 정산 가능 여부와
월세 세액공제 조건 그리고 의료비와 교육비 세액 공제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 5월 연말정산 서류 체크하기
5월은 종합 소득세의 달입니다.
세액 공제가 가능 한 항목은 무엇인지 그리고 세액공제가 가능한 조건은 무엇인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현금 영수증 꼭 발급받기
부동산 중개업은 현금영수증 의무 발급 업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 매매나 임대차 계약 시 지급하신 중개 수수료는 꼭 현금 영수증을 발행받도록 합니다.
전입신고가 늦거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세액 공제받지 못한 월세도 임대인의 사업자 등록 여부과 관계없이
주택 임차료 신고가 가능합니다.
물론 여기에도 조건이 있는데요.
월세 세액 공제받을 수 있는 조건
월세 세액 공제는 연간 총급여액이 7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 근로자이거나
또는 근로 소득을 포함하여 종합 소득금액이 6천만 원 이하인 성실 사업자만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일반 근로자와 성실사업자의 소득에 따른 공제율과 공제 한도
일반 근로자의 경우 근로소득이 연 5,500만 원 이하인 경우 공제율은 12%이며 최대 90만 원까지 적용 가능합니다.
연 5,500만 원 초과 7,0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10%의 공제율과 최고 75만 원까지 적용됩니다.
이에 따른 최대 공제 가능 한도는 750만 원입니다.
성실 사업자의 경우 소득액 4,000만 원 이하인 경우 12%
4,500만 원 초과 6,0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10%로 적용 공제 한도는 일반 근로자와 동일하게 750만 원입니다.
의료비는 어떤 항목이 세액 공제가 되는 걸까? 조건은?
의료비 역시 항목에 따라 세액 공제가 되는 항목인지 안 되는 항목인지
헷갈릴 때가 매우 많습니다. 그동안 헷갈렸던 항목 지금 알아보겠습니다.
산모의 산후 조리원 입소 비용은 세액공제가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가능합니다. 아내의 산후 조리원 입소 비용은 200만 원 한도 내에서 보험 실비 처리를 한 금액과 바우처 사용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부모님의 병원비 직접 지급 한 내역은?
아직 현역인 58세 부모님의 병원비 직접 지급한 내역은 본인이나 기본 공제 대상자를 위해
직접 지출한 의료비는 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의료비 세액공제 조건과 한도
의료비는 다른 항목과 조건이 조금 다릅니다.
소득이나 나이 제한 없이 근로소득자가 지출한 의료비에 대해 공제를 해주는 제도 이기 때문입니다.
의료비 지출액이 총급여액의 3%를 초과했을 때 공제되며 한도는 연 700만 원입니다.
단, 의료비는 근로자가 직접 지출 한 의료비가 공제 대상이며
보험 회사로부터 수령한 보험금으로 지급한 의료비는 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자녀 교육비 및 교복 등 구입비용
자녀 교육에 들어가는 금액은 세액 공제의 조건이 어떻게 되고
세액 공제 한도액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5살 된 우리 아들 피아노 학원 수강료
초등학교 취학 전 자녀의 학원 또는 체육 시설에 지급한 교육비는 소득 공제 가능합니다.
14살 우리 딸 중학교 교복 구입비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교복이나 체육복 등 구입비용 역시 소득 공제 가능합니다.
자세히 알아볼까요? 아래 표 확인 부탁드립니다.
소득공제 대상에 속하는 항목
보육료(정부 지원금 제외), 수강료, 유치원비, 방과 후 수업료, 특별 활동비, 도서 구입비, 급식비 등이
소득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대상과 한도액
세액 공제 금액은 교육비 공제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 일괄 15%이며
한도액은 근로자 본인은 한도 없음 / 취학 전 아동의 경우 연 300만 원 / 초.중.고등학생도 연 300만원
대학생의 경우 연 900만 원 / 장애인 특수교육비도 한도가 없습니다.
마무리
놓치거나 까먹기 쉬운 연말 정산 항목과 그 항목 별 조건 그리고 한도액까지 알아보았습니다.
티스토리는 이게 첫 글이다 보니 아직 글 쓰는 것도 익숙지 않아 실수 한 부분은 없는지
걱정이 되네요
앞으로도 복잡한 정부 지원금이나 각종 정책과 규제 등을 포스팅하는
더센스의 돈 되는 뉴스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삶의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수성가 한 부자들의 4가지 성공 습관 (0) | 2022.08.08 |
---|---|
달라고 해야 주는 이사 환급금 알고 계신가요? (0) | 2022.08.01 |
부린이 성장기 용적률과 건폐율 1분만에 이해하기 (0) | 2022.07.30 |
아파트 청약 특별 공급 소득 기준 알아보기 (0) | 2022.07.28 |
전세 월세 보증금 보호 규정 최우선 변제권과 꼭 확인 할 내용 (0) | 2022.07.27 |
댓글